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 떡과 한과(종류와 특징)

by 쎈 언니 2025. 1. 23.

떡은 한국 고유의 전통음식으로 삼국시대 불교의 교리에 따라 육식보다는 곡물과 채식을 위주로 하는 문화가 1000년 동안 원이 침략하기 까지 우리나라에 정착이 되었습니다.  고구려에서는 찹쌀떡과 같은 떡이 특별한 의례에 사용되었으며, 백제에서는 팥고물을 입힌 떡이 인기를 얻었습니다. 신라시대는 떡을 만드는 기술이 발전하였습니다. 

 

한국 떡의 종류 떡의 특징 한과종류

한국 떡의 종류

 

  • 증병류 : 쌀가루를 상기시켜 만든 떡을 말합니다.                                                                                                          (백설기,콩시루떡,무시루떡,잡과병,밤설기떡,감설기떡,행병,도병,당귀병,국화병,쑥시루떡,상자병,산삼병,메시루떡,찰시루떡 등이 있습니다.)
  • 도병류 : 곡류를 찐 다음에 쳐서 만드는 떡입니다.( 인절미, 절편,흰떡, 개피떡,쓱개피떡등이 있습니다.)
  • 단자병류 : 쌀가루를 모양을 만들어 반죽하거나 삶거나 찌는 떡을 말합니다.(흰송편,쑥송편,송기송편,콩경단,팥경단,깨경단,수수경단,감자경단, 팥단자.밤단자,석이단자, 승검초단자,유자단자,복숭아단자, 쑥구리단자,건시단자 등이 있습니다.)
  • 유전병류 : 찹쌀가루를 모양을 만들어 반죽하여 기름에 지지는 떡입니다.(진달래꽃전,장미꽃전,국화꽃전,밤주악,대추주악,치자주악,메밀주악 등이 있습니다.)
  • 이병류 : 쌀가루에 술을 넣고 반죽하여 부풀려 찌는 떡입니다. (증편이 있습니다.)

한국 떡의 특징

 

  1. 설기떡의 특징: 설기떡의 가장 기본은 백설기입니다. 맵쌀가루에 물이나 꿀물을 믹스해서 체로 쳐셔 하얗게 쪄내는 떡입니다.  가정에 새생명이 태어나면 세이레, 백일이나 돌의 음식으로 사용되어지며 절이나 제사를 올릴 때에도 대표음식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2. 메시루켜떡 : 고물을 넣고 켜로 만들어 찌는 떡입니다.  신년이 되면 신에게 빌 때 이 떡을 올렸다고 합니다.
  3. 메시루편 : 떡고물 없이 켜를 얇게 펴서 찌는 메시루떡입니다. 쌀가루에 섞이는 재료에 따라서 떡의 명칭이 달라집니다
  4. 찰시루켜떡: 찹쌀가루를 얇게 하고 고물을 얹힌 다음에 찌는 떡입니다.찹쌀가루를 섞기도 하고 찹쌀과 맵쌀을 번갈아 섞기도 합니다.
  5. 인절미 : 차진 떡이라 잡아 당겨 끊는 떡이라는 뜻에서 인절병이라고 붙여진 이름입니다. 잘 쳐야 차진 떡이 되는데 찹쌀을 술밥으로 쪄서 치는 것과 가루를 내서 쪄서 치는 법이 있습니다. 
  6. 절편 : 멥쌀가루를 익힌후 떡을 쳐서 잘라낸 떡입니다. 절편에는 아름다운 무늬들이 있는데 종교적 또는 심리적인 소망을 담고 있습니다.

 

한국 한과의 종류

  • 강정,산자류 : 말린 찹쌀 반죽을 기름에 튀긴후 고물을 묻히는 것입니다.(콩강정,당귀간정,깨강정,흑인자강정,매화강정잣강정,송화강정,계피강정,방울강정,세반강정 등이 있습니다.)
  • 유밀과류 : 꿀을 넣어 반죽하여 기름에 튀긴 후 다시 꿀에 담근 것 입니다.(약과,연약과,다식과,매작과,박계,계강과등이 있습니다.) 
  • 다식류: 곡실가루, 한약재,꽃가루,녹말가루 등 생으로 먹을 수 있는 것에 꿀을 넣고 다식판에 박아낸 것입니다.(녹막다식,송화다식,밤다식,깨다식,흑임자다식,콩다식,생강다식,용안육다식,갈분다식,도토리다식,감자다식,고시라다식,승검초다식,쌀다식 등이 있습니다.)
  • 전과류 : 식물의뿌리,줄기,열매를 설탕에  졸인것입니다.(연근전과,생강전과,청매전과 ,행인전과,맥문동전과,인삼전과,유자전과,산사전과,모과전과,송실전과,건포도전과,도라지전과,더덕전과,동과전과,들죽전과,살구전과,복숭아전과,앵도전과,죽숙전과,무릇전과 등이 있습니다.)
  • 숙실과류: 과수의 열매를 익혀서 꿀에 졸인 것입니다.(밤초,대추초,율란,조란,생란등이 있습니다.)
  • 과편류 : 신맛이 나는 과일에 꿀을 넣어 졸인 후 녹말가루를 넣어 엉키게 한 다음 식힌 후에 썰어 놓은 것입니다.(앵도편,살구편,모과편,백자편,복분자편,머루편,생강편등이 있습니다.)
  • 엿강정류 : 견과류나 곡식을 가루를 내지 않고 엿에 섞어 끓인 후 버무린 것입니다.(깨엿강정,콩엿강정,호도엿강정,잣엿강정,땅콩엿강정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