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의 식사 예절, 한국 음식의 특징 및 상차림의 종류

by 쎈 언니 2025. 1. 26.

한국의 식사예절, 한국음식의 특징, 상차림의 종류

한국의 식사예절

 

  • 식사 중에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 식사 중에는 말을 많이 하지 않습니다.
  • 윗사람이 수저를 든 다음에 아랫 사람이 수저를 듭니다.
  • 숟가락과 젓가락을 동시에 한손에 들지 않고, 젓가락을 들고 있을 때에는 숟가락은 상 위에 올려둡니다. 숟가락과 젓가락은 그릇에 올려두지말고, 밥그릇이나 국그릇은 들고 먹지 않습니다.
  • 밥과 국물은 숟가락으로, 반찬은 젓가락을 사용합니다. 
  • 식사 중에는 음식타박을 하지 않아야 하며, 먹을 때 소리내지 말고, 수저가 그릇에 부딪쳐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 수저로 반찬이나 밥을 뒤적거리지말고, 수저에 음식이 묻어서 남지 않도록 합니다.
  • 식사 중에 뼈나 가시는 함께 식사하는 이들에게 보이지 않도록 조용히 종이에 쌉니다.
  • 식사 중에 재채기나 기침이 나오면 얼굴을 옆으로 하고 손이나 손수건으로 입을 가려서 피해를 주지 않습니다.
  • 너무 빨리 먹거나 지나치게 먹지 않도록 하며, 어른이 수저를 내린 다음에 따라서 내려놓으면 됩니다. 
  • 식사를 마친 후에는 수저를 처음 위치에 가지런히 내려놓습니다.

 

한국 음식의 특징

  • 음식의 종류와 요리법이 매우 발달되어있고 조미료와 향신료가 다양합니다.
  • 사계절에 맞게 발표 저장 식품이 매우 발달되어있습니다.
  • 곡물중심의 식생활로 주식과 부식이 정확하게 구분되어 있습니다.
  • 약과 음식은 근원이 같다는 약식동원의 기본 정신이 배여 있습니다.

 

한국의 상차림의 종류 

  • 3첩- 반찬 3그릇을 상에 올리는 것으로 밥, 국 ,김치, 장 이외에 3가지 반찬을 내는 방법입니다.
  • 5첩- 밥, 국, 김치, 장, 조치 외에 5가지 반찬을 내는 방법입니다. 
  • 7첩- 사대부집의 상차림으로, 밥, 국, 김치,조치류,간장,초간장,초고추장 등 첩수에 들어가지 않는 기본 음식을 비롯하여 7가지 반찬을 내는  반상입니다. (첩수에 들어가는 음식: 숙채,생채,구이,조림,전,마른반찬,젓갈,최,장아찌)
  • 9첩-밥,국,김치,장,조치,짐,전골 외에 9가지 찬품을 내는 반상입니다ㅏ.
  • 12첩- 임금이 평상시에 받는 상입니다. 수라상에는 은수저 1벌, 은입사시 1벌, 흰 수라, 각탕,간장류,김치류,찬품류와 토구를 올립니다.  소원반에는 기미용 은입사시 1벌, 금테를 한 상아져 1벌, 팥수라, 곰국, 찬품류,공공기,공접시, 냉수시접등을 올립니다. 이 외에 냉수주전자, 숭늉주전자, 공접시,휘건, 첩뚜껑, 행주, 가위 등을 올립니다.\
  • 미음상 : 미음이란 쌀이나 좁쌀에 많은 양의 물을 부어 푹 끓인 후 체에 거른 죽으로 건더기가 없는 것을 말합니다. 대추미음상에는 설탕을 올려두고, 암치나 건대구를 부드럽게 솜같이 보풀려서 놓습니다. 대화도 건조된것을 두들겨서 보풀려 한데 곁들이기도 합니다. 진간장을 꼭 함께 놓습니다. 
  • 응이상 : 전분가루로 율무가루, 수숫가루 등을 사용한 목말을 물에 풀어 끓인 것으로 죽보다 묽은 상태이기 때문에 마실수 있는 상태로 응의,의의 라고도 합니다. 
  • 장국상 : 밥 대신 국수를 주식으로 하여 차리는 상으로 간단히 식사할 때 차리는 상입니다. 장국상의 종류로는 온면, 냉면,떡국,만두국 , 찜, 겨자채 ,잡채, 편육,전,배추김치, 나박김치,생채,잡채,전 등이 있습니다.
  • 주안상 : 손님에게 술을 대접하기 위해 차리는 상입니다. 각각의 술과 함께 전골이나 찌개 같은 국물이 있는 음식과  술안주로 내놓습니다.